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
- kt 에이블스쿨 6기 미니 프로젝트
- kt 에이블스쿨 6기 빅프로젝트
- kt 에이블스쿨 기자단
- KT 에이블스쿨
- kt 에이블스쿨 6기
- 머신러닝
- ElasticSearch
- 엘라스틱서치
- 앙상블
- 티스토리챌린지
- KT AIVLE
- 판다스
- 네트워크
- 케이티 에이블스쿨
- 데이터 프레임
- 케이티 에이블스쿨 기자단
- 파이썬
- 오블완
- 백준
- 케이티 에이블스쿨 6기 ai
- 케이티 에이블스쿨 6기 후기
- 알고리즘
- 케이티 에이블스쿨 6기 java
- kt aivle school
- kt 에이블스쿨 6기 ai
- SQLD
- 에이블 기자단
- 케이티 에이블스쿨 6기
- 구현
- Today
- Total
목록ElasticSearch (5)
미식가의 개발 일기
🔍 Search API 기본 구조_search 엔드포인트를 통해 인덱스 내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다.GET /my_index/_search{ "query": { "match": { "title": "elasticsearch" } }} 🧠 자주 사용하는 쿼리 종류 Elasticsearch에서 쿼리는 Query DSL(Domain Specific Language)로 작성하며,대표적으로 match, term, bool 쿼리가 많이 사용된다.🔹 match 쿼리 – 자연어 검색match 쿼리는 전체 텍스트 검색(full-text search)에 사용된다. 내부적으로 분석기(analyzer)가 적용되어 입력된 문자열을 나누고, 토큰을 기준으로 검색한다...
✅ Bulk API란?Bulk API는 여러 개의 문서 작업(색인, 생성, 수정, 삭제)을 한 번의 HTTP 요청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이 방식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다수의 HTTP 호출 → 1회 요청으로 병합 → 네트워크 비용 절감대량 색인 시 속도 향상비동기 일괄 작업에 적합공식 홈페이지 Bulk index or delete documents | Elasticsearch API documentationAll methods and paths for this operation: POST /_bulk PUT /_bulk POST ...www.elastic.co 🔧 요청 형식 (NDJSON)Bulk API는 newline-delimited JSON 포맷을 사용한다.POST /_bul..
엘라스틱서치에서 인덱스란?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매핑을 통해 데이터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 인덱스 생성 구조해당 API로 PUT 요청을 보내면 새로운 인덱스가 생성된다. PUT : https://ip:9200/index_name 인덱스 생성을 위해서는 JSON body에 2가지를 정의해야 한다.`settings`: 클러스터, 인덱스 운영 설정(샤드 개수, 복제본 수, 텍스트 분석기 정의(커스텀 필터 등록) 등)`mappings`: 필드 이름과 데이터 타입 지정해당 예제는 커스텀 analyzer인 `my_analyzer`에 `standard` tokenizer로 모든 단어를 분리하고, `lowercase` filter를 적용해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지정한다.`title`과 `cont..
Elasticsearch는 다양한 방법과 경로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데요.저는 Ubuntu(WSL) 기반으로 Docker를 이용해 설치했습니다. 0️⃣ Ubuntu(WSL) + VSCode 환경 설정※ 환경 설정이 필요한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Ubuntu(WSL) + VSCode 환경 설정Windows 10/11 환경에서 Ubuntu WSL을 설치하고, VSCode와 연동하여 개발 환경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 실행 후 wsl 설치wsl --install Ubuntu 설치wsl --installirreplaceablehotgirl.tistory.com 1️⃣ Docker 설정 ※ Docker 설치가 안 되어 있으시면 아래 링..
1️⃣ 엘라스틱서치란?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분산형 오픈소스 검색엔진이다.구조화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텍스트, 로그, 메트릭,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 검색엔진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쿼리)를 바탕으로, 방대한 데이터 중에서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웹사이트, 문서, 상품, 로그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에 적용되며, 오늘날 거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 엘라스틱서치 인덱싱 과정 JSON 형태의 문서 → 역색인(Inverted Index) 생성 → 토큰화 및 분석 → 문서를 인덱스에 저장 단순한 key-value 저장소가 아닌 역색인 구조를 사용하기에 수백만 개 문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