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의 개발 일기

[KT 에이블스쿨(6기, AI)] 19주차~24주차, 빅프로젝트 후기 본문

KT 에이블스쿨(6기, AI)

[KT 에이블스쿨(6기, AI)] 19주차~24주차, 빅프로젝트 후기

대체불가 핫걸 2025. 2. 17. 11:33

빅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며..

오랜만의 포스팅입니다!

드디어 길고 길었던 빅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내일 발표회만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7주간의 여정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육장 예약

 

빅프로젝트를 시작하며 교육장에서 자주 모여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저희 조는 가까운 분들은 자주 오시고, 거리가 있는 분들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오셔서 정기적으로 만나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저는 교육장까지 거리가 꽤 돼서 일주일에 한 번 금요일마다 교육장 예약을 하고 참여했습니다!

확실히 비대면으로 하는 것보다 피드백도 즉각즉각 들을 수 있고 소통도 잘 돼서 원활하게 팀 활동 진행했던 거 같습니다.

또, 교육장 가면 매니저님이 항상 간식도 채워주시고 구내식당 밥도 나쁘지 않아서 좋았어요. 😊 (거리만 가까웠으면 더 자주 갔을텐데 넘 아쉽...) 

 

 

빅프로젝트 개요

빅프로젝트는 팀원과 역할을 나눠서 자유롭게 개발하고, 코치님께 코치를 받으며 진행하는 방식이였어요.

1. 프로젝트 진행

2. 코치님께 현재 진행사항 공유 및 피드백 받기

3. 각 주차별 산출물 제출하기

이렇게 진행됐고, 산출물은 제출하면 코치님께서 확인하시고, 보완사항이나 의견을 주시면 다시 수정해서 제출하는 형식으로 진행됐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전체적인 틀을 놓칠 때가 많은데 그럴때마다 코치님께서 한번씩 잡아주시는 게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

 

 

 

협업

협업!! 정말 중요하죠.. 저희 조는 깃허브로 파일 관리를 했는데요.

팀 관리 기능이 잘 되어 있는 GitHub Organization 기능을 활용했고, Github Desktop을 이용해 각자 Branch를 만들어서 맡은 기능을 구현하고 Main Branch에 합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말 많은 충돌이 있었는데요...

실수로 같은 파일을 수정하거나, Main Branch에 병합한 후 내 Branch를 삭제하지 않고 진행해서 혼란이 생기고, Local Branch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Pull하지 않고 작업해 충돌이 발생하는 등등..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행착오를 통해 Git을 활용한 협업 시 주의해야 할 점을 많이 배울 수 있었어요! 

 

느낀점

규모가 큰 프로젝트였던 만큼 단순히 개별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큰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던 값진 경험이었던 거 같아요.

 

주제 선정부터 아이디어 고도화, 데이터 조사 및 수집,  데이터 전처리, 모델 선정, 모델링, 모델링, API 개발, UI/UX 디자인, 권한 설정, 배포까지 웹 서비스의 전 과정을 팀원들과 함께 수행하며 웹이 돌아가는 전체적인 구조와 내가 수집하고 전처리한 데이터가, 내가 생성한 모델이 어떻게 쓰이는지 사용자들에게는 어떻게 제공되는지에 대해 큰 관점에서 볼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저는 앞으로 데이터 분석, 데이터 사이언스, AI분야로 나아가고 싶지만 웹을 전체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구동해 본 경험은 앞으로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이번 프로젝트 너무 만족스러웠어요. 😊

 

아무리 좋은 데이터와 모델이 있어도 사용자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시각화되지 않으면 그 가치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것을 느꼈고, 결국 데이터, AI, 웹 개발은 개별 기술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 거 같아요!

 

 

 

 

 

ps: 내일 빅프로젝트 발표회는 메타버스로 진행된다고 해서 매우 기대중입니다! ㅎㅎ 발표회 후기로 다시 돌아올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