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의 개발 일기

[네트워크] Cisco Packet Tracer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하기 본문

CS

[네트워크] Cisco Packet Tracer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하기

대체불가 핫걸 2025. 3. 30. 23:31
Cisco Packet Tracer란?
네트워크 설계, 구축,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무료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실제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해당 포스팅은 Cisco Network 공식 홈페이지의 Getting Started with Cisco Packet Tracer와 Exploring Networking with Cisco Packet Tracer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0️⃣ 다운로드

  • 해당 링크로 접속해서 Cisco Packet Tracer를 다운로드 해줍니다. 저는 Windows로 진행했어요. 
 

Resource Hub: Get Packet Tracer, Virtual Machines, and More

Your one-stop for learning resources used within our courses such as hands-on practice activities and our network simulation tool, Cisco Packet Tracer.

www.netacad.com

→ 다운로드가 완료돼서 접속하면 해당 화면이 나옵니다. 

 

💡 Logical Mode vs Physical Mode

좌측 상단에 보면 상단바 아래 Logical, Physical 탭이 있습니다.

Logical 모드는 네트워크 연결 및 논리적 동작 확인하는 모드이고, Physical 모드는 장비의 실제 위치 및 케이블 연결 확인 등 물리적 배치를 확인하는 모드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Logical 모드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1️⃣ 네트워크 장비 추가하기 

좌측 하단을 보시면 네트워크 장비 카테고리 있고, 바로 아래에는 서브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브 카테고리는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이 있습니다.

 

💡 추가

클릭 후 드레그 하면 대시보드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저는 Network Devices > Wireless Devices > Home Router와 End Devices의 PC, Labtop을 추가해줬습니다.

상단 바의 줌 인, 줌 아웃 버튼, 삭제하기, 되돌리기 버튼으로 장비를 자유 자제로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장비 이름 변경

장비 이름을 클릭하여 변경하거나 장비 더블 클릭 > Config 탭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네트워크 장비 연결하기

💡 유선 연결

좌측 하단 Connections 탭에서 케이블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장비를 클릭한 후 두 번째 장비를 클릭하여 연결해줍니다. 

Automatically choose connection type(가장 처음에 있는 번개 모양)을 선택하면 Packet Tracer가 자동으로 적절한 케이블을 선택하여 장비를 연결해 줍니다. 첫 번째 장비를 클릭한 채로 연결을 취소하고 싶다면 Esc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무선 연결

노트북을 클릭한 후 먼저 전원 버튼을 눌러서 꺼줍니다.

 

현재 들어있는 카드를 드래그해서 버린 후 좌측에 WPC(Wireless PC) 카드를 넣어줍니다. 

 

다시 전원을 켜 주고, 대시보드를 확인하면 무선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IP 주소 할당 및 확인

해당 환경에서 실습 진행했습니다.

💡 IP 주소 할당

장치 클릭 > Config > GLOBAL > Settings 
  •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려면 DHCP에 체크, 직접 할당은 Static 선택해서 입력합니다.

 

💡 네트워크 설정 확인

장치 클릭 > Desktop > Command Prompt
C:\ipconfig /all

  • IP Address: 현재 PC에 할당된 IP 주소 (192.168.0.2)
  • Subnet Mask: 서브넷을 구분하는 마스크 값 (255.255.255.0)
  • Default Gateway: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라우터 주소 (192.168.0.1)

 

4️⃣ PDU 생성 및 시뮬레이션 

※ PDU란? Protocol Data Unit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단위입니다.
※ 해당 실습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이해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ICMP, TCP, IP, DNS, HTTP, ..)과 패킷 흐름을 실습하는 과정입니다.

해당 환경에서 실습 진행했습니다.

 

💡 PDU 생성

<Office-Admin과 Printer 사이에 ICMP 패킷 생성>

상단 바 > Add Complex PDU

 

Office-Admin 클릭 후 Printer를 클릭

 

처음에 Office-Admin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Create Complex PDU창이 뜰 텐데, 창은 그대로 띄워두고 Printer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Destination IP Address에 Printer IP가 입력됩니다.

 

Sequence Number 설정

이 번호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어떤 순서로 도착해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번호인데 예시값 1234를 넣으면 됩니다. (다른 숫자를 넣어도 상관없지만 1234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Simulation Settings에서 시간 설정 후 Create PDU

 

시간 설정은 한 번 실행할 건지 반복적으로 실행할 건지 설정할 수 있고, 저는 5초에 한 번 반복 실행 되도록 설정했습니다.

 

💡 시뮬레이션 확인 

 

우측 하단에 Simulation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Simulation Panel이 나옵니다.

Play Controls의 시작 버튼으로 시뮬레이션을 시작할 수 있고 Bar를 이용해 속도 조절도 가능합니다.

5초에 한 번 PDU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vent List에서 Last Device를 클릭하면 OSI Model과 PDU Detail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DU 및 시뮬레이션 제거

우측 하단의 (detele)를 더블 클릭 해주면 PDU와 시뮬레이션 모두 제거됩니다.

반응형